나를 세상에 태어나게 한 부모님을 고소하고 싶어요 / 법정에 선 12살 쯤 되는 소년 자인이 세상을 향한 외침으로 영화는 시작된다.
자인은 저주받은 땅 가버나움 난민촌에 산다.
출생신고도 하지 않아 세상에 태어나게 한 부모도 자인도 나이를 정확하게 모른 채 살아가지만 12살로 추정된다고 영화는 말한다.
난민촌의 극심한 가난과 부모의 무책임한 자식생산은 삶을 더욱 고통스럽게 한다.
자인은 하얀 환각제가루를 물에 섞여 쥬스를 만들어 파는 엄마를 도와 길거리에서 팔기도 하고 , 슈퍼에서 배달일을 하며 힘겨운 생활을 산다.
자인에게는 여러 동생이 있다.
어느날 그중 한살터울인 여동생 사하르의 초경을 목격하게 된다.
사하르 바지에 피가 묻자 화장실로 데려가 자기 윗옷을 주며 처리해주던 의연함은 놀라웠다.
이웃의 누구처럼 팔려가니까 아무에게도 들키지 말고 ,누구에게도 말하지 말라고 사하르에게 일러둔다.
사하르의 초경을 알게된 부모는 결국 팔다시피 시집보낼려 한다.자인은 사하르를 가출시키기 위해 모든걸 준비했지만 사하르는 시집가게된다.
결국 혼자 가출 하고만다
스파이더맨 할아버지를 따라 놀이공원에서 일자리를 구하지만 할일은 없다.
놀이공원에서 무료한 시간을 보내는 자인을 바라보게된 라힐을 만나게 된다.
라힐은 에디오피아에서 온 불법체류자 미혼모이다.
라힐은 자신의 아이 요나스를 돌봐주는 조건으로 자인에게 숙식을 제공한다.
라힐과 요나스도 빈민가생활이다.
라힐은 가짜 신분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요나스 역시 출생신고조차 못했다
라힐은 자인부모와는 달리 요나스를 지키려한다.
자인은 잠시나마 안정감을 갖지만 불법체류자 라힐은 잡혀가고 만다
." 요나스를 버린 라힐이 자기부모보다 더 나쁘다 " 라힐이 붙잡혀가게된 이유를 모르는 자인은 말한다
라힐이 붑잡혀가고 요나스를 떠맡게 된다.
요나스를 지키고자하는 자인의 책임감은 눈물겹기까지 한다.
요나스에 대한 자인의 책임감은 감동 자체다.12살 쯤 되는 어린 소년의 책임감은 너무도 절절하다.
그 한계에 이르러 불법체류자에게 위조신분증을 만들어주는 브로커에 요나스를 넘긴다.
그런 가운데 출생신고서류만 있다면 원하는 나라로 갈수있다는 말에 다시 집으로 돌아간다
아이를 임신하고 하혈이 심해 병원에 갔으나 출생신고서가 없어 병원에서 죽었다는 여동생의 소식을 듣게 된다.
여동생의 죽음에 분노한 자인은 칼을 들고 나가 슈퍼주인을 찌르나 미수에 그쳐 수감하게 된다.
자인은 풀려나와 부모님을 대동하고 법정에 서게 된다.
판사가 나이를 묻자
부모를 가르키며 "나이를 모르니 저사람들에게 물어보세요 "
자인의 목적은 오직 하나
"저 사람들이 아이를 낳지 않게 해주세요"
딸을 보내니 또 다른 자식을 보내준다며 면회온 엄마가 신은 공평하다고 자인에게 임신사실을 알린다.
분노에 찬 자인은 애를 낳치 말라고 엄마에게 항변한다.
부모의 쾌락위주의 성행위로 태어나 구제불가능한 가난의 되물림을 하고 싶지 않은 자인의 외침인 것이다.
난민가의 생활 , 부모들의 무책임한 생산으로 받게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싶은 자인
마침 교도소에서 생방송시청중 나를 태어나게 한 부모님을 고소하고 싶다고 세상을 향해 외친다.
자인에게 신분을 증명할 기회가 주어진다
카메라 앞에 선 자인에게 사망진단서도 아니고 신분증명서이니 밝게 웃으라고 사진사는 말한다.
별로 웃을 일 없이 살아온 자인의 환한 웃음으로 영화는 마무리 된다.
칸영화제에서의 자인역 알라피아
실화를 바탕으로
여류감독 라단 라바키가 레바논 베이루트 빈민가를 4년여에 걸쳐 만들어낸 영화 가버나움이다
가버나움은 성경에 나오는 지명으로 예수가 기적을 행하던 곳이다
기적을 바라기만 하고 행동하지 않아 저주의 땅으로 불린다.성경적해석으로는 영화가 제작되지는 않았다.
감독은 이 영화를 준비하면서 거리의 아이들에게 행복하냐고 물었다 한다.
" 나는 여기에 있는 게 행복하지 않아요 , 내가 여기에 왜 있는지 모르겠고, 죽었으면 좋겠어요 ,좋은 말도 못 듣고 배고픈 데 먹지도 못해요 "라고
대답했다한다.
주인공 자인역의 알라피아는 길거리에서 배달을 하던 시리아난민으로 길거리 캐스팅 되었다고,
라힐역의 요르다노스 스피로우는 실제 불법체류자로 자신의 이야기를 통해 아이들을 돕고 싶다는 뜻을 전하며 캐스팅 되었다고,
요나스는 가족과 체류중이다가 캐스팅 되었다고,
여동생 사하르 역의 하이타 아이잠은 베이루트 거리에서 껌을 팔고 있다가 캐스팅 되었다고,
제 71 회 칸영화제에서 15분간 기립박수를 받은 영화라 한다.
이 영화의 수익금일부는 난민들을 위한 재단을 설립하는 데 쓰인다고 한다.
요즘 영화보는 재미에 빠져 우연히 접하게된 영화인데 그것(가버나움)은 단순히 어떤 충격이라기엔 ,
아이를 더이상 낳지 말라며 ,부모를 고소하고 싶다는 어린 소년의 절규는 영화 보는 내내 생생하게 전달되었다고나 할까,
감독의 시선으로 난민들 삶이 어느 정도 치유되면 좋겠고 ,
실제가 되는 주인공들의 삶이 회복되었으면 좋겠고, 더 이상 아이들이 길거리에서 방황하지 않았으면 좋겠고
아이들 입에서 죽고싶다는 말을 하지 않는 세상이 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현재 극장상영작이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례는 타인을 위한 기도의 길 / 영혼의 순례길 (0) | 2019.02.22 |
---|---|
영화 사이사이 음악이 있어 좋았던 두 남자 우정이야기 / 영화 그린 북 (0) | 2019.02.20 |
영화 리틀 포레스트 / 혜원(김태리 )이 만든 음식들 (0) | 2018.04.26 |
영화 차이나타운 (0) | 2015.05.07 |
안개속의 풍경 (0) | 2013.11.14 |